-
비상계엄령은 전쟁이나 큰 위기가 발생했을 때 정부가 특별한 힘을 사용하기 위해 내리는 명령이에요.
대한민국에서는 몇 번의 비상계엄령이 있었는데, 주로 나라에 큰 혼란이 생겼을 때 내려졌어요. 그중 몇 가지 중요한 시기가 있었습니다.
- 1948년 여수·순천 사건: 이때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나라가 혼란스러워졌어요. 그래서 정부는 이 지역에 비상계엄령을 내리고, 군대가 치안을 유지하도록 했어요.
- 1961년 5·16 군사정변: 1961년에 군대가 정권을 잡으면서 비상계엄령이 내려졌어요. 이때는 나라의 질서를 지키기 위해 군대가 특별한 힘을 가지고 여러 가지 일을 했어요.
- 1979년 10·26 사건 후: 1979년에 대통령이 암살된 일이 있었어요. 그 후 나라가 혼란스러워져서 비상계엄령이 내려졌어요. 이때도 군대가 질서를 유지하고 나라를 안정시키기 위해 큰 역할을 했어요.
- 1980년 5·17 쿠데타: 1980년에 군대가 다시 나라의 정권을 잡으려 하면서 전국에 비상계엄령이 내려졌어요. 이때는 학교도 문을 닫고 정치 활동도 금지되는 등 많은 제약이 있었어요. 이 일로 인해 5·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어요.
비상계엄령은 나라에 큰 문제가 생겼을 때 군대가 직접 나서서 질서를 지키고, 사람들의 안전을 보호하려고 하는 특별한 상황이에요. 하지만 이런 명령이 내려지면 많은 자유가 제한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는 힘든 시간이 되기도 합니다.
이번 비상계엄령은 어떻게 될지 관심갖고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.
- 1948년 여수·순천 사건: 이때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나라가 혼란스러워졌어요. 그래서 정부는 이 지역에 비상계엄령을 내리고, 군대가 치안을 유지하도록 했어요.